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생활 정보

미니멀리스트의 뜻과 생활 속 실천 방법을 알아보자

by 비르자이 2025. 4. 14.

미니멀리스트란 미니멀리즘(Minimalism)을 실천하는 사람으로 보통 일상에서 최소한의 물건 소비와 사용을 하는 심플한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번 글에서는 미니멀리스트(미니멀리즘)의 자세한 기원과 발전사, 실천 방법을 정리하였다.


1. 미니멀리즘의 기원

간소한 가구

미니멀리즘의 기원은 19세기 미국의 수필가였던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가 1800년대 중반 출간한 수필집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가는 홀로 숲 속에 들어가서 간소하게 2년 정도를 생활한 뒤 <월든(Walden) 또는 숲 속에서의 삶(Life in the Woods)>를 출간하였다.

당시 미국은 18세기말 영국 식민지에서 벗어난 이후 산업과 경제가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소비가 증가하던 시기이다. 물질주의가 만연한 분위기에서 갑자기 등장한 <월든>이라는 책은 사람들에게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단순히 물건을 적게 소유하는 것을 넘어 욕망을 절제하고 '비움'의 가치를 탐미하는 이상주의 관념으로도 이어져서 향후 철학과 예술, 건축 등에서도 관련 운동이 진행되기도 하였다.

현대에 들어서는 약 1990~2000년대부터 지금의 형태와 비슷한 미니멀리스트 개념이 등장했다. 당시에도 물질주의에 피로함을 느낀 사람들이 있었는데 인터넷을 통해 미니멀리스트 개념이 더 멀리 퍼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언론이나 매체에도 미니멀리즘 개념이 등장하면서 트렌드로 변했고 관심 갖는 사람도 많이 생겨났다.


2. 미니멀리즘 실천 방법

미니멀리즘의 실천 방법 중 가장 중요한 한 가지는 바로 '불필요한 물건 소유하지 않기'일 것이다. 앞으로 뭔가 살 때 고심하는 자세도 필요하지만, 이미 구매해서 가지고 있는 물건이 많다면 이제부터 정리를 시작하는 것도 좋다. 아래 참고용 유튜브 영상과 설명을 덧붙인다.

골라듄다큐

EBS 골라듄 다큐에서 소개하는 남자의 사례는 다소 극단적인 미니멀리스트의 실천 방법이라고 느낀다. 1인 가구라고 해도 집에 수건이 단 1장이라서 사용 즉시 손으로 빨아 쓰거나, 낡은 서랍장을 테이블로 사용하는 모습은 미니멀리스트 입문자가 따라 하기에는 난이도가 최상급으로 보인다.

오히려 이렇게 적은 물건만 남기고 모두 처분하면 나중에 필요한 물건을 다시 구매해야 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점도 알아두자.


곤도 마리에

대신 곤도 마리에 식의 물건 정리 방법을 참고하는 편이 현실적으로 좋을 것 같다. 지금 가진 물건 중에서 설레지 않는 물건은 버리는 방식으로 향후 사용 여부도 생각해서 정리를 결정하면 좋을 것 같다. 아마 최근 몇 년 전에 국내에서 유행한 집 정리 프로그램의 원조가 아닐까 싶은데 요점은 필요하지 않은 물건은 정리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미니멀리스트의 반대말은 맥시멀리스트(Maximalist)이다. 이름처럼 물건을 많이 소유하는 사람을 의미하는데, 물건이라는 게 한 번 사두고 정리하지 않으면 순식간에 집에 불어나기 쉽다. 적당한 물건은 생활을 윤택하게 하지만 반대로 너무 많은 물건은 피곤함을 동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지금 어떤 물건을 찾아야 하는데 다른 물건 때문에 제 때 찾지 못하거나, 집에 물리적인 공간 자체가 줄어들어서 생활이 불편해지는 사례를 떠올릴 수 있다.

미니멀리즘을 실천하려면 우선 일상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이것이 꼭 필요한지 먼저 생각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지출도 줄이고 불필요한 물건을 소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1일 1 물건 버리기'를 실행해서 이미 가진 물건을 줄이는 방도 추천할 만하다. 이 두 가지를 꾸준히 의식하고 실천한다면 과소비와 지나친 물건 소유를 줄이는 데 도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