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쿠팡 정보/쿠팡물류센터

쿠팡 물류센터 지게차, 시설관리 등 일자리 정보 안내

by 비르자이 2024. 3. 29.

전국의 쿠팡 물류센터는 1년 365일 쉬지 않고 운영된다. 센터마다 규모는 조금씩 다르겠지만, 채용 사이트를 보면 상시로 계약직/단기직(일용직) 작업자를 채용하는데 정말 국민 알바라고 부를만하다.

쿠팡 단기직 근무를 희망하는 사람은 쿠펀치 앱 등으로 원하는 공정에 지원한 다음, 근무 확정 문자를 받고 다음 날 출근하면 된다. 만약 계약직으로 주 5일 근무를 희망하면 웰컴데이 신청 후 그날 센터 근무를 체험한 뒤 간단한 면접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단기직이든 계약직이든 주로 물류센터 메인 공정에서 근무할 텐데, 사실 센터에는 메인 공정 외에도 해볼 수 있는 일이 몇 가지 있다. 업무별 뽑는 인원은 많지 않은데 인원 채용 공고는 인터넷 취업 사이트 등에 비정기적으로 올라오는 것 같다. 지역에 맞는 쿠팡 센터를 검색하면 채용 자리를 볼 수 있지만, 센터나 업체 상황에 따라 필요 인원이 수시로 변경되는 점은 참고하자.

* 이 블로그에서는 직접 채용을 알선해드리지 않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채용사이트 등에서 원하는 키워드 입력 후 공고문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예) 쿠팡 지게차


지게차 운전

지게차 예시

센터에서 상품이나 공토트 등을 쌓은 파렛트는 지게차 운전자가 필요한 장소로 옮기기도 하는데, 공정에 따라 화물차가 들어오는 도크 쪽이나 일종의 파렛트 창고인 버퍼 존에 있다. 일반 물류센터 작업자는 안전을 위해 지게차가 있는 곳에는 절대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

만약 지게차 운전을 할 수 있다면 관련 근무도 지원해 볼 수 있다. (지게차 운전 면허증이 필요한 것 같음) 쿠펀치 앱을 보면 단기직으로 지게차 일을 지원할 수 있는 센터가 몇 군데 보이지만 고양센터는 없는 것을 보면 계약직 채용만 하는 게 아닐까 싶다.

그래서 얼마나 추가 인원을 모집하는지 또는 근로 자격이나 조건 같은 내용이 궁금하다면 채용 사이트를 참고해야 할 것이다. 아니면 센터 5층 A동에 있는 채용팀에 방문해서 직접 문의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시설관리

주로 OB 카트픽 집품을 하는 2, 5층 작업장에는 하루에도 빈 박스가 많이 나온다. 박스는 작업자들이 진열된 상품을 뜯고 낱개로 집품하는 과정에서 필요 없는 박스를 버리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집품 작업자는 일하다가 여유가 있다면 빈 박스는 통로 밖으로 바로바로 치워 주는 것이 좋은데 안 그러면 상품이 있는 곳에 박스가 넘칠 것이다.

고양쿠팡에서 빈 박스(파지)는 시설관리 또는 클린팀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정리하고 있다. 작업자들은 각층을 돌면서 커다란 카트나 롤테이너에 빈 박스를 모으고 접어서 작업장 밖에 버리는 일을 한다. 혹은 도크나 일반 작업자들이 쓰는 화장실 청소 등을 담당하는 환경 미화 업무를 맡고 있다.

예전에는 클린팀 소속이 고양쿠팡이었는데 언제부터인가 외부 업체로 바뀌었다는 것 같다. 그래서 업무에 지원하려면 물류센터 내 HR 채용팀이 아니라 인터넷에서 채용 사이트를 검색해야 한다. 또한 업무 지원 시 박스 수거나 환경 미화 둘 중 한쪽을 선택한다는 것 같은데 자세한 근로 조건과 채용 여부 등을 사이트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다.

추가로 센터에서는 단기직 물류센터 작업자를 대상으로 시설관리(파지) 일을 모집하기도 한다. 상시 모집하는 건 아니고(쿠펀치 앱에도 시설관리는 없음) 만약 지원한 공정이 있는데 그날 자리가 마감되거나 사람이 더 필요할 때 HR 부서에서 랜덤으로 전화나 문자로 시설관리 지원 안내를 하는 것 같다.

단기직으로 시설관리 업무에 확정되면 환경 미화는 빼고 박스 수거만 담당하고 2~6층 중 한 곳으로 업무 배정을 받는다. (간혹 다른 층 작업장으로 이동할 때도 있음) 이후 해당 작업장에 도착해서 관리자에게 업무 내용이나 점심, 퇴근 시간 안내를 받고 파지를 정리하면 된다.

시설관리 일의 장점은 무거운 걸 들지 않아서 체력이 별로 들지 않는 점인데 대신 일할 때 옷에 박스 먼지가 조금 붙는 편이다.



보안 요원

작업자는 고양쿠팡 어느 공정이든 작업장에 들어가고 나올 때는 반드시 보안 검색대를 통과해야 한다. 모든 작업장 검색대에는 요원들이 상주하는데 혹시 금속이 있으면 소리가 나서 다시 확인받아야 한다.

작업장 안에는 핸드폰이나 스마트워치 같은 금속은 가지고 들어가거나 나올 수 없다. 그래서 조금 번거롭겠지만 허리띠에 금속이 있다면 미리 풀어서 보안 요원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또한 겨울철 작업장에서 지급하는 손난로도 따로 꺼내야 하고 간식을 가져갔다면 작업장에서 다 먹고 나와야 한다.

보안 요원의 장점이라면 체력 부담이 전혀 없는 점을 들 수 있다. 일하는 동안 특별한 때를 제외하면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이 없다시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원 일에 지원하는 여성 작업자도 자주 보인다. 다만 매주 주야간 근무를 번갈아 일해야 돼서 수면 시간대가 바뀌는 점은 큰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보안 요원 채용은 상시로 하는 듯한데 자리가 정해져 있다 보니 인원을 무한정으로 채용하지는 않는 것 같다. 채용 사이트에 접속해서 '고양쿠팡'이나 '고양쿠팡 보안'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면 채용 공고가 나올 때가 있는 듯한데 관심 있다면 직접 지원해 보자.



식당 조리 보조

고양쿠팡 일반식 예시

쿠팡 고양센터 직원 식당은 2, 6, 7층 B동에 있다. 그리고 센터에 출근한 작업자는 하루에 한 번 무료로 일반식, 간편식, 라면 중 한 가지를 선택해서 식사하면 된다. 센터 식당 세 곳은 모두 외부 업체에서 운영하고 있는데 음식을 만들고 작업자 배식을 안내하거나 식기 세척 등을 담당하는 인력 역시 각 업체에서 고용하고 있다.

전에 채용 사이트를 검색했더니 식당 조리 보조원 모집 공고가 올라온 적이 있었다. 당시 공고는 7층 식당에서 올라왔는데 다른 두 식당도 사람이 필요하면 지원 공고를 내지 않을까 싶다. 자세한 근무 시간부터 급여나 복지 같은 계약 조건은 채용 사이트를 참고해 보자. 아니면 센터 출근 후 식당에 직접 문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화물, 택배 운전

사람인 화물차 운전 모집 공고

채용 사이트를 검색해 봤더니 화물트럭 운전자를 모집하는 구인 공고문도 찾을 수 있었다. 모집 공고에 따르면 주로 하는 일은 쿠팡 캠프에서 캠프나 층간·동간 운송부터 대기업 택배, 쿠팡 퀵플렉스(소화물), 워터플렉스(생수), 간선 운전 등이 있었다. 단 업체별 상황에 따라 모집 인원이나 업무 내용은 수시로 달라질 수 있다.

그 외 공고문에 따라 작업자는 주야간 시간대를 선택하거나 현장 교육 진행, 영업용 번호판 지원 등 다양한 근무 조건 및 복지 정보가 있었는데 정확한 조건과 업무 내용 등은 채용 사이트를 검색하는 것이 빠르다.



HR 부서, 공정 현장관리자

사람인 캡틴 모집 공고

이번 글에 포함 예정이 없었는데 채용 공고문을 발견해서 추가하게 되었다. 먼저 고양쿠팡 인사관리 부서 (HR) 모집 공고가 올라오기도 하는데 인사 또는 행정 담당자를 모집하는 것 같다. 주로 물류센터 작업자들의 출퇴근이나 근태관리, 입사자·퇴사자 서류와 급여·연차 관리, 사무 보조 등의 업무를 해야 해서 엑셀이나 전산 등 컴퓨터 활용에 밝아야 한다.

고양쿠팡 HR 부서에서 일하면 물류센터 공정 일 대신 센터 5층 B동 사무실에서 컴퓨터 사무일을 주로 한다. HR 업무에 관심 있거나 컴퓨터 활용 능력이 좋은 사람이면 공고문을 참고해서 지원해 보자. 단, 채용은 단기직은 하지 않고 주 5일 계약직 직원만 모집하는 듯하다.


다음으로 공정 캡틴은 센터 내 FC, 허브에서 소속된 공정을 관리하는 현장 관리자를 말한다. 팀 캡틴은 소속된 공정에서 일하는 단기직/계약 작업자를 관리하고 작업장 전체를 운영하는 일을 담당하는데 작업자들에게 업무 관련 내용을 전달하거나 부상, 기타 상담 등을 진행하기도 한다.

참고로 팀 캡틴은 공정별로 다른 색깔 조끼를 입고 있어서 쉽게 직책을 알 수 있다. (OB : 빨강, IB : 파랑, ICQA : 회색, AR : 회색, 허브 : 오렌지) 또한 전 공정 공통으로 노란색 조끼를 입은 관리자는 PS(Problem Solver : 문제 해결사)인데 캡틴의 업무를 보조하거나 신규 작업자 교육 및 각종 작업 관련 문제 등을 해결한다. PS 희망자는 일반 계약직으로 입사한 다음 소속된 공정에서 지원해 볼 수 있다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