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비 지출에 부담이 큰 시민의 교통비를 절감하고, 보행 · 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수단 및 대중교통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이다. 먼저 카드를 발급받고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가입 후 매월 일정 횟수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마일리지를 지급받을 수 있다. (예산 부족 시 지급액 변경 또는 지급 중지 될 수 있음)
목차
1. 알뜰교통카드 신청 방법
2. 알뜰교통카드 등록 방법
3. 마일리지 적립 방법과 기준
4. 즐겨찾기 등록 방법
5. K 패스 전환 안내 (모바일 앱)
1. 알뜰교통카드 신청 방법
카드 사용을 위해서는 먼저 기존 카드사를 통해 카드를 발급받아야 한다. 2024년 3월 기준, 총 11개 카드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카드 종류에 따라 신용/체크, 선불/후불, 실물/모바일로 신청할 수 있다. 카드사에 따라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하며 기타 약관이나 연회비 등 사용 조건이 있으니 발급 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아래 알뜰교통카드 공식 홈페이지 접속 후 [카드 자세히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카드사 발급 페이지로 이동
* 카드 발급 및 재발급은 각 카드사에 문의해야 함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alcard.kr
2. 알뜰교통카드 등록 방법
카드를 사용하고 마일리지를 적립하려면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나 모바일앱을 통해 꼭 회원으로 등록해야 한다. 등록과정은 아래와 같으며 복잡하지 않다.
① 카드사를 통해 카드 발급
② 구글 플레이스토어/애플 스토어에서 알뜰교통카드 앱 다운로드 및 설치
③ 앱 실행 후 회원가입 및 발급받은 카드번호 입력
④ 약관 동의, 본인 인증, 주소지 검증하면 가입 끝
3. 마일리지 적립 방법과 기준
카드 발급과 등록을 마쳤다면 대중교통 이용 시 마일리지를 적립받을 수 있다. 단 카드 이용자의 연령이나 대중교통 이용 금액 및 이용 거리 및 기타 조건에 따라 적립되는 마일리지는 달라진다.
대중교통 이용금액 별 적립금액
기본 마일리지 | 2천 원 미만 | 2~3천 원 | 3천 원 이상 |
일반층 (34세 이상) | 250원 | 350원 | 450원 |
청년층 (만 19~34세) | 350원 | 500원 | 650원 |
저소득층 | 700원 | 900원 | 1,100원 |
* 이용금액은 1통행 기준, 환승과 추가요금 모두 포함
* 대중교통 이용금액으로 최대 지급 마일리지가 결정되는데 이동거리가 800m 미만이면 거리에 비례해서 적립
* 마일리지는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최대 90%까지 받을 수 있음
대중교통 이동거리별 적립금액
대중교통 요금 | 800m미만 | 800m이상 |
기본 마일리지 | 이동거리에 비례 | 최대금액 지급 |
* 환승과정의 이동거리는 미포함
마일리지 적립 기준
월 60회 이상 이용 | 적립금 많은 순으로 지급 |
월 최소 15회 이용 | 마일리지 지급 |
마일리지 적립 | 대중교통 이용내역 확인 후 지급 |
마일리지 적립 소요 기간 | 4~14일 정도 소요 |
* 61회 이상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익월(익익월) 지급
* 월 15회 미만 사용 시 마일리지 소멸 (첫 달은 횟수와 무관하게 지급 - 주소지 검증 정상의 경우)
4. 즐겨찾기 등록 방법
즐겨찾기 경로를 등록해두면 매번 출발/도착지 입력 없이 등록 주소를 기준으로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다. 즐겨찾기 등록은 아래 순서에 따라 진행하면 된다.
① 앱이나 홈페이지 로그인 후 마이 페이지 → 즐겨찾기 화면 이동
② 주소검색 버튼 클릭 후 출발지 입력 후 돋보기 클릭
③ 출발지 주소 선택 후 '정류장 검색 버튼' 클릭 → 정류장 이름 검색 → 선택하기
④ 도착지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
⑤ 화면 아래 '저장' 버튼 클릭해서 저장 완료
자주 이용하는 출발/도착지 또는 정류장 등록
출발하기, 도착하기 버튼 입력 없이 등록 주소를 기준으로 자동 적립
* 최대 3개 경로 저장 가능(왕복 적용)
* 출발/도착 버튼을 누르면 즐겨찾기에 경로와 상관없이 입력된 노선에 따라 마일리지 지급
5. K 패스 전환 안내 (모바일 앱)
올해 5월 1일부터 K 패스가 시행되며 이에 따라 4월 30일 기존 알뜰교통카드 제도는 종료된다. 기존 회원들은 별도의 복잡한 절차나 새 카드 발급 없이 앱이나 홈페이지 접속 후 전환 동의를 하면 된다. ([K-패스] > [K-패스전환] 메뉴)
•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 2024년 4월까지 이용내역
• 전환 기간 : 2024년 6월까지(홈페이지), 4월까지(모바일 앱)
• K 패스 적용 : 2024년 5월 1일 이용 내역부터
7월부터는 기존 카드 전환이 되지 않는다. 만약 기존 카드가 없는 이용자가 K 패스 카드를 사용하려면 새로 카드를 발급받고 회원 가입을 진행해야 한다.
새로 시행될 K 패스는
• 기존 제도와 같이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월 최대 60회까지 적립금이 지원
• 이동거리에 관계없이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이 적립금으로 지급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 53.3%)
2020년부터 시행된 알뜰교통카드는 매년 사용자 수 역시 늘어 2024년 3월 기준으로 약 118만 명이 된다.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한다면 마일리지 혜택을 얻을 수 있는 만큼 앞으로도 사용자는 늘 것으로 예상된다.
끝으로 카드 사용 및 마일리지 등과 관련된 자세한 문의는 031-427-4415 (평일 09:00~18:00)에서 상담할 수 있다. 홈페이지 이용 시 [알림마당] → [자주묻는질문]을 참고하거나 [문의하기]를 이용하면 된다.
K-패스 홈페이지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K-패스 구글 플레이스토어
K-패스 - Google Play 앱
대한민국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play.google.com
K-패스 애플 앱스토어
K-패스(알뜰교통카드)
알뜰한 대중교통 생활의 시작, K-패스로 교통비 걱정 패스! ■ K- 패스 카드발급과 회원가입이 필수! - K-패스 카드와 알뜰교통카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카드 발급 후 K-패스 홈페이지 또
apps.apple.com
'일상 정보 >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티커 끈끈이 깨끗하고 쉽게 제거하는 방법 안내 (0) | 2024.04.01 |
---|---|
소음방지 귀마개(이어플러그) 착용법 안내 (0) | 2024.04.01 |
계란 혈반과 육반, 알끈은 먹어도 될까? (0) | 2024.03.30 |
계란 껍질 숫자의 의미는? 난각번호 읽는 방법 안내 (0) | 2024.03.30 |
연금복권 720+ 구매 방법과 주의사항 안내 (0) | 2024.03.29 |
천연꿀 고르는 방법 안내 (탄소동위원소비율) (0) | 2024.03.25 |
담배꽁초 수거 보상제 지역과 참여 방법 안내 (0) | 2023.02.26 |
국민건강보험 이메일 고지서, 자동이체 신청 방법 안내 (PC 버전)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