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쿠팡 정보/쿠팡물류센터

고양쿠팡 OB 집품 공정 하는 일과 후기

by 비르자이 2024. 3. 16.

고양쿠팡 OB 집품 개요

센터 내 다양한 공정 중 OB는 OutBound의 약자로, 밖으로 내보낸다는 뜻이 있다. 물류센터에서 OB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배송 공정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되는데 크게 집품과 포장 공정으로 나뉜다.

 

참고 글 : 포장 공정 안내

 

고양쿠팡 OB 포장 공정 하는 일과 후기

앞서 OB 공정 집품 파트에 관해 알아보았는데 이어서 OB 포장 파트에 대해서도 알아보려고 한다. 포장 파트 하는 일과 미세먼지 팁 등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같은 포장 공정도 업무가 제법

dailyspace.tistory.com



먼저 집품은 작업자가 고객의 주문 상품을 픽업하는 일이라면, 포장은 집품한 상품을 비닐이나 박스 등으로 포장하는 일이라고 보면 된다. 이 글에서는 OB 집품에 관해서 다루고 있고 포장에 관해서는 향후 다른 글에서 작성하고자 한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집품 작업자는 작업장에서 카트와 토트(바구니), PDA 단말기를 가지고 고객의 주문 상품을 찾는다.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계속 토트에 담는 일이라서 마치 고객 대신 쇼핑하는 것과도 같다. ㅎ 찾은 상품은 종류와 수량을 정확히 확인해서 토트에 담아 레일에 태우면 자동으로 포장 공정으로 이동한다.


 

OB 집품 작업장 이동 (단기직)

6층 출근 장소

 

센터 6층으로 오면 셔틀버스가 다니는 차도를 기준으로 양쪽에 A동(빨간 숫자)과 B동(파란 숫자) 건물이 있다. (사진 오른쪽을 보면 파란색 04, 05 숫자가 보일 텐데 B동 4번, 5번 도크이다) 단기직 출근 시 A동 위쪽을 보고 빨간색 7~10번 숫자 도크 쪽으로 가면 위 장소에서 쿠펀치 체크인을 할 수 있다.

* AR은 1층으로 바로 가면 되는데 B동 식당 쪽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로 내려가면 된다.

6층 쿠펀치 체크인을 마쳤다면 캐비닛에 짐 보관을 마치고 휴게실에서 잠시 대기하다가 A동 1, 3번 도크 기존사원 집결지로 이동하면 된다. (OB가 처음이면 신규교육자 안전교육을 받아야 한다) 이후 노란 조끼 관리자에게 자신의 원바코드(010을 뺀 8자리 핸드폰 번호)를 알려주면 집품이나 포장 둘 중 한 곳을 지정해 줄 것이다.

잠시 후, 줄 서는 사람들이 늘어나면 관리자가 한 줄씩 사람들을 뽑아 그날 작업 장소를 알려준다. 집품 작업장은 2층, 4층, 5층, 6층 A/B동이 있는데 2, 5층은 무거운 파렛트 진열 상품이 많고 4, 6층은 가벼운 선반 진열 상품이 많다. 층마다 장단점이 있어서 작업자마다 선호하는 층이 다르겠지만, 그날 어느 층에 가는지는 랜덤으로 결정되는 점 참고하자.



OB 집품 하는 일과 특징

고객의 주문 상품을 픽업하는 OB 작업자가 일하는 과정은 복잡하지 않다. 일이 처음이더라도 1시간 정도만 작업해 보면 누구나 숙련자가 될 수 있을 만큼 단순한 편이며 기본적인 작업 흐름은 아래와 같다.

① 작업자는 PDA 단말기에 원바코드 로그인 후 업무 시작
② 카트에 공토트를 싣고 PDA로 작업할 토트 바코드 스캔
③ PDA가 알려주는 상품 위치로 이동 후 종류와 수량 확인
④ 상품 확인을 마친 다음 바코드를 찍고 토트에 담기
⑤ 토트가 가득 차면 레일에 보내고 새 토트로 다시 작업 시작

PDA로 상품을 찾아 토트(바구니) 채우는 일을 반복하는 일이라 작업 과정은 전혀 복잡하지 않다. 대신 작업장이 넓고 상품도 무척 다양해서 많이 걸어야 하고 상품을 채운 토트를 레일에 올릴 때 가끔 토트가 무거울 때가 있다. (5~15kg)

또한 하루 3번 정도 PDA 화면에 긴급 피킹이라고 뜰 텐데 바로 온라인 쿠팡 사이트의 배송 마감 시간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보면 된다. 한 번 긴급피킹은 1~2시간 정도 가는 것 같은데 마감 시간에 가까워지면 평소보다 집품 속도를 조금은 높여야 한다.



OB 집품 공정 후기

주말 정도만 할 수 있는 일이 필요해서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고양쿠팡 모집 공고를 보고 지원하게 되었다. 쿠팡 공정에 대해서 전혀 아는 것이 없어서 아무 생각 없이 OB 공정을 선택했다. 확정 문자를 받고 다음 날 셔틀버스로 센터에 출근한 뒤에는 담당자 안내에 따라 신규 작업자 산업안전교육 영상을 시청하고 관련 서약서를 작성했다.

약 2시간의 교육이 끝난 뒤 바로 인솔자를 따라 집품 작업장으로 이동 후 관리자를 만날 수 있었다. 곧 같이 이동한 사람 몇 명과 집품 작업 개요를 배우고 바로 PDA와 카트를 챙겨 업무에 투입되었다. 관리자의 설명을 듣고 바로 토트 집품을 했는데 처음에는 작업장도 넓고 상품 진열 선반도 끝도 없는 것 같아서 무척 생소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다행히 일 자체는 단순하고 쉬워서 금방 적응할 수 있었다. PDA가 알려주는 위치로 가서 정해진 상품을 수량에 맞게 토트에 담기만 하면 끝인데 '이보다 더 단순한 일이 있을까?' 싶기도 했다. 그대로 약 1시간 정도 집품 작업을 마치고 7층 식당으로 올라가서 점심을 먹었다.

식사 후 6층 휴게실에서 조금 쉬다가 다시 작업장으로 돌아간 뒤 퇴근 시간까지 집품 작업을 반복했다. 지루하다면 지루한 일이겠지만, 오히려 낯선 환경에 적응하고 처음 해보는 일에 재미를 붙여 지루하지 않게 일을 마칠 수 있었다. '고생하셨습니다.' 관리자의 인사와 함께 모여 있던 사람들이 빠르게 작업장을 빠져나갔다.

작업장을 나간 뒤에는 먼저 6층 캐비닛에 보관한 짐을 찾고 담당자에게 카드키를 반납해야 했다. 이후 오후 6시가 지나서 모바일 쿠펀치 앱의 '안녕히 가세요' 버튼을 눌러서 체크아웃한 다음 셔틀버스에 올라 출발을 기다렸다.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길다면 긴 하루였지만, 생각보다 집품 업무 강도는 높지 않았고 일 자체도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었다. 이 정도면 앞으로도 얼마든지 일할만하다고 느꼈고 그래서 다른 날도 근무를 지원했다.